성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에 있는 그리스도교 교회의 수장들이 이스라엘 정부에 특정 세금을 납부하도록 강요하려는 시도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했다. 현재 가장 시급한 문제는 아르메니아 교회와 관련된 것이지만, 가톨릭교회 기관과 관련된 문제도 많이 있다.
예루살렘 지역 교회들의 총대주교들과 수장들은 최근 예루살렘시 당국이 교회들에 “아르노나(Arnona)”라고 알려진 지방세를 내도록 강요하려는 시도를 비난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2월 19일에 발표된 성명서에 따르면, 예루살렘시 당국의 이러한 행동은 “법적으로 의심스럽고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
지방 정부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정교회) 총대주교청에 대한 압류 명령을 내렸고, 이 명령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경우, 세금을 내지 않았다는 이유로 지방 자치 단체가 교회의 재산을 인수하게 된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성지에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교회 중 가장 작은 교회 중 하나이지만, 이 문제로 인해 가톨릭교회와 그리스 정교회도 영향을 받고 있다. 교회에 아르노나를 포함한 특정 세금이 면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수십 년 동안 논의되어 왔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수 세기 동안 예루살렘에 현존해왔다.(출처=ACN 자료사진)
이스라엘의 그리스도교 교회와 정부 간의 관계는 오스만 제국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세속정당과 종교정당 간의 정치적 이해(스테이터스 쿠오:status quo)”로 지배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이터스 쿠오는 정치적 성명서에 불과합니다”라고 예루살렘 가톨릭교회 라틴 총대주교청의 프로젝트 및 지출 관리 책임자 사미 엘 유세프(Sami el-Yousef)가 교황청재단 가톨릭 사목 원조 기구 고통받는 교회 돕기 ACN 대표단과의 회담 중 말했다. “실제 법을 살펴보면, 우리 기관이 예외라는 내용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우리가 법정에 가면 아마도 질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정치적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법에 따라 세금을 내야 한다면 모든 교회는 파산할 것입니다.”
“교회들은 세금 납부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바티칸과 이스라엘 간의 대화는 1994년에 시작되어 1996년까지 합의가 이루어졌어야 했지만, 여전히 협상이 진행 중입니다.” 사미 엘 유세프가 설명했다.
예루살렘 가톨릭교회 라틴 총대주교청의 프로젝트 및 지출 관리 책임자
사미 엘 유세프(출처=ACN 자료사진)
그러나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정교회) 총대주교청의 경우, 교회 측은 지방 자치 단체가 적법한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지방 자치 단체가 사법 조사를 거치지 않고 채무 결정을 강행하려는 시도였던 것과 문제를 성실하게 협상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 위원회를 무시한 것입니다. 이 무모한 행동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정교회) 총대주교청을 위태롭게 하고, 성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역의 그리스도교 기관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한 선례를 남길 것입니다.”라고 예루살렘 지역 교회 총대주교들과 수장들이 공동 성명에서 밝혔다.
별도의 성명서에서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정교회) 총대주교청은 지방 자치 단체의 징수 담당자가 주장하는 금액이 199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채무에 대한 것이지만, 소멸시효를 무시하고 실제로 지방 자치 단체에 임대된 부동산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부동산은 연체된 임대료로 수백만 셰켈을 빚지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징수 담당자가 “원고, 판사, 집행자 역할을 모두 한 것처럼 행동하면서 고용주인 지자체 당국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라고 비난했다.
예루살렘에 있는 라틴 총대주교청 사업개발본부 본부장 조지 아크루쉬(George Akroush)는 ACN에 “우리는 교회, 회의장, 양성 센터, 그리고 아마도 규모가 작은 게스트 하우스와 기념품 가게를 갖춘 큰 조직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지자체 당국이 그 조직체라고 일컬을 때는 게스트 하우스나 기념품 가게가 가지고 있기에 세금을 내야만 하겠지만 지자체 당국은 다른 기관 모두도 여기에 포함시켜 과제대상으로 여기는 것입니다.”
예루살렘에 있는 라틴 총대주교청 사업개발본부 본부장 조지 아크루쉬(출처=ACN 자료사진)
조지 아크루쉬는 지자체 당국과의 협상에서 교회가 수행하는 귀중한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교회가 문을 닫아야 한다면 정부 자체에 막대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학교, 노인요양시설, 장애인 센터, 고아원, 문화 센터, 병원, 기타 사회 서비스 시설이 부족하여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정부 수립 수백 년 전부터 이곳에 있었던 교회들이 이러한 영역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면제되어야 합니다. 이스라엘이 이러한 세금을 부과하면 교회가 운영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어 여러 서비스가 중단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미 적자 운영을 하고 있고, 국제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장 가난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몇 가지 중요한 서비스가 중단될 것이고, 그들은 고통받게 될 것입니다.”
예루살렘에는 가톨릭 기관과 관련된 사건이 4건 있으며, 이스라엘의 다른 지역에서도 더 많은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그들은 하이파(Haifa)에 있는 라틴 총대주교청 학교의 은행 계좌를 동결시켰다. 우리를 대변해 줄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우리가 협상해야 했습니다. 우리가 세금을 내지 않지만, 시의 기여에 대해서는 언급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여 2백만 셰켈(50만 유로 이상)에서 50만 니스(13만 4천 유로)로 금액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내년에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는 더 이상 우리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라고 사미 엘 유세프는 ACN에 언급했다.
“이것은 경제적인 압박으로 몰아붙임으로써, 성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에서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의 존재감을 약화시키려는 명백한 시도입니다.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의 부채에 관한 법원의 판결은 위험한 선례를 남길 것이며, 다른 그리스도교 공동체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성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전반적인 그리스도교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라고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의 성명서에서 말했다.
예루살렘은 유대인, 무슬림, 서로 다른 고백(종교)을 가진 그리스도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공동체의 고향이다.(출처=ACN 자료사진)
2월 19일 성명서에서 총대주교들과 교회의 수장들은 정치적 해결책을 촉구했다. “한 교회를 표적으로 삼는 것은 모두를 향한 공격이며, 그리스도의 공적직무가 이루어진 땅에서 우리의 그리스도교적 증거의 기반이 흔들리는 지금 침묵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벤자민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 총리, 모셰 아벨(Moshe Arbel) 내무장관, 차치 하네그비(Tzachi Hanegbi) 장관이 즉시 개입하여 모든 압류 절차를 중단하고, 위에서 언급한 정부 위원회 내에서 협상이 재개되어 공명정대한 자세로 이 문제에 대한 원만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촉구합니다.”